2021년 1월 24일 주일1부예배 설교
온유한 것은 사람을 온화하고 부드럽게 대하는 자세이다. 우리는 우리에게 온화하게 대하는 사람들에게는 부드럽게 대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에게 공격적으로 대하거나 무례하게 행동하거나 마음에 들지 않게…
애통하는 자, 즉 우는 자가 복이 있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우리는 울면서 살아야 하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성경 전체를 통해서 가르쳐주는 우리들의 삶의 태도가 있다면, 항상…
사랑에 대한 15가지 정의 가운데 가장 많이 등장하는 주제는 참고 견딘다는 것이다. 첫 번째 정의에서도 사랑은 오래 참는 것이라고 했고, 8번째 정의에서도 성내지 않는 것이라고…
사랑은 기대로 표현되게 되어 있다. 아이가 태어나면 우리들은 아이에 대한 기대와 소망을 품는다. 아이를 사랑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사랑하지 않는다면 기대하지 않는다. 지나가는 낯선 사람에게 기대할…
믿음은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뚜렷한 모습이다. 사랑하게 되면 그 사람을 믿게 되지만, 사랑이 식으면 그 사람을 도주지 믿을 수가 없다. 그래서 믿는 모습으로 사랑은 표현되는 것이다. 특히 남성들은 자신을…
사랑의 12번째 정의는 모든 것을 참는 것이다. 이미 첫 번째 정의로 사랑은 오래 참는 것이라고 했는데, 다시 12번째에서 모든 것을 참는 것이라고 가르치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도 우리 인간의 연약함…
사랑은 맹목적이어서는 안 된다. 자녀가 잘못을 저지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감싸고 두둔한다면 결국 그 자녀를 망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랑은 “진리와 함께 기뻐하는 것”이라고 가르친다. 정말 진심으로 사랑한다면…
참된 사랑의 10번째 정의는 불의를 기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말씀은 온정주의에 빠져 자녀들이 잘못된 길로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감싸고도는 경향을 종종 보이는 우리들이 새겨들어야…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 이 말은 독립 운동가이자 역사학자였던 단재 신채호 선생이 했던 말이다. 단재가 이 말을 한 이유는 다시는 우리 민족이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겼던 그…
사랑의 8번째 특성은 성내지 않는 것이다. 이 말씀은 우리를 당황스럽게 만든다. 왜냐하면 우리는 사랑하기 때문에 화를 내기 때문이다. 사랑하지 않는다면 결코 화를 낼 이유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화를 내는…
사랑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않는 것이라고 가르친다. 그런데 헬라어 원문으로 보면 이 표현은 “자기의 것”을 구하지 않는 것이라고 되어 있다. 그래서 이 표현은 다음의 몇 가지 의미로 이해할…